2022. 1. 19. 13:02ㆍ일상etc
일단해봐요생방송오후1시 쓰레기 똑똑하게 버리는 법 버리는 것도 일 쓰레기 버리는 방법 22년 일회용품 음식물 쓰레기 효과적으로 줄이기 방법 22년 1월 19일 방송 정보
신속함과 간편함이 대세인 시대이지만, 그만큼 넘쳐나는 쓰레기로 하루 평균 전국에서 배출하는 쓰레기만 54만톤이 넘는다고 한다.



쓰레기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부터 재활용 방법까지 알아본다.

코로나19로 늘어난 쓰레기 배출량
- 코로나사태 이후 전 세계 인구가 한 달동안 사용하는 마스크 길이만 해도 지구 둘레로 48바퀴가 넘는다고 한다. 또한 인천광역시의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도 2024년 말에는 쓰레기 포화로 사용 종료가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쓰레기 문제에 더욱 신경쓸 필요가 있다.

2020년 12월부터 바뀐 투명페트병 버리는 방법
=> 투명 페트병을 버릴 때 라벨을 분리해서 버려야 함. 분리하지 않고 버릴 때에는 최고 3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게 된다.
과자봉지 접어서 버려도 되나요?
(X) 재활용 쓰레기는 재활용하는 과정에서 사람이 일일이 보고 선별하는데, 비닐 봉지가 접혀 있으면 안의 내용물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펴서 버려야 한다.
쓰레기 잘못 버리면 벌금은 어느 정도 되나요?
폐기물 관리법 시행령에 의거 최소 5만원에서 최고 100만원까지 과태료를 부과받을 수 있다. 보통 일반 쓰레기 봉투에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는 문제가 많다고 한다.

분리수거 재활용이 되는 것과 되지 않는 것
에어캡(뽁뽁이), 투명 일회용컵 (O) : 재활용이 가능
즉석밥용기 (△) : 재활용 가능할 수도 있고 아닐 수 있다
코팅전단지, 영수증, 치킨박스, 사기그릇, 컵라면 (X) : 재활용 불가능


- 치킨박스나 컵라면 등은 이물질이 묻어있을 수 있어서 재활용을 할 수 없다.
- 사기그릇이나 내열유리 그릇은 일반 유리와 녹는 온도가 다르기 때문에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 복합 제재로 되어 있는 것은 대부분이 재활용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 즉석밥 용기는 밥풀, 김칫국물 같은 것이 잘 제거 되어 있으면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재활용 불가능하다.
일반 폐기물 폐기 표시 : 재활용이 되지 않는 것 (일반 쓰레기 봉투에 버린다)

바뀐 표시법 : 어떻게 버려야 하는지 내용이 표기되어 있다.
비닐류는 깨끗이 씻어서
페트병은 라벨을 떼어서
플라스틱은 깨끗이 씻어서
캔류는 내용물을 비워서

질문
칼이나 가위, 면도칼을 버릴 때는 어떻게 하나요?
답변
날 부분을 신문지나 두꺼운 천, 테이프로 감싸고 '칼주의' 라고 표기한 후 버린다.
질문
택배로 오는 아이스팩은 어떻게 버리나요?
답변
아이스팩은 안에 물이 들어있는 것과 젤이 들어있는 것 두 종류가 있는데, 물이 들어있는 것은 잘라 물은 버린 후 버리면 되는데, 젤이 들어있는 아이스팩은 재활용이 되지 않기 때문에 그대로 버려야 한다. 젤형 아이스팩을 뜯어서 하수구에 버리면 팽창하기 때문에 절대 뜯어서 따로 버려서는 안된다.

** 젤 아이스팩 버리는 방법
=> 내용물은 말린 후에 종량제 봉투에 담아서 배출하고, 포장 비닐은 재활용하면 된다.
젤형 아이스팩 활용하는 방법
화초의 위에 올려주거나, 빈 용기에 담아 아로마 오일을 뿌려서 방향제처럼 사용할 수 있다.

- 불연성 생활 폐기물은 주민센터에서 마대자루를 마련해서 버리면 된다. 흙 역시 공사장 생활 폐기물로 버리면 된다.

질문
이불은 어떻게 버리나요?
답변
누비이불이나 담요는 의류수거함에 버리고, 솜이불이나 베개 정도는 종량제 봉투에 넣어서 버려야 한다.
종이박스 정리하는 방법 (재활용 수거함 만들기)
1. 제일 큰 박스를 골라 위쪽 입구 부위를 칼로 자른다.
2. 노끈을 양쪽 구멍에 이은 후 묶어서 손잡이를 만든다
3. 빈 상자가 생길 떄마다 차곡차곡 접어서 넣은 다음 버리면 된다.

비닐봉지 정리 하는 방법 (세모 접는 방법)
1. 비닐봉지를 반듯하게 펼친 후 세로로 두 번 접는다.
2. 아래부터 세모 모양으로 접으면서 올라온다.
3. 마지막에 삼각형을 벌려서 생긴 틈에 손잡이를 넣는다

비닐봉지 보관하는 방법 : 물티슈 뚜껑 이용하기
1. 지퍼팩에 물티슈 뚜껑을 붙인다. (양면테이프나 글루건을 활용)
2. 물티슈 뚜껑 입구에 맞게 칼로 구멍을 낸다.
3. 비닐봉지를 안에 넣고 한 개씩 뽑아서 쓴다.


물티슈 뚜껑을 두 개를 반대로 겹쳐 붙이기
=> 면봉이나 고무줄 등을 보관하기 좋다


페트병 활용법
1. 페트병으로 비누받침 만들기
- 비누 밑에 페트병 뚜껑을 대고 눌러서 살짝 박아준다.

2. 페트병으로 수세미 거치대 만드는 법
- 페트병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10~15cm 정도로 자른다.
- 페트병 입구 부분이 아래로 향하게 겹친다.
=> 수세미를 놓으면 물기가 아래로 빠지면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고무장갑을 이용한 밀폐용기 덮개 만들기.
- 고무장갑을 잘라서 반찬통이나 도시락통을 덮으면 밀폐용기 덮개처럼 사용할 수 있다.

고무장갑을 이용한 탄산음료 덮개 만들기
- 고무장갑의 손가락 부분을 잘라서 탄산음료 덮개로 사용하면 김 빠지지 않고 탄산음료를 맛있게 먹을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분류 기준 및 주의사항
1. 동물이 먹을 수 있는가? => 사료로 사용
2. 쉽게 부패가 되는가? => 비료로 사용
- 닭뼈나 달걀껍데기, 갑각류 껍질은 일반 쓰레기로 버린다.
- 지역의 마크가 찍혀있는 쓰레기 봉지나 칩을 활용해서 버려야 한다.
음식물쓰레기
바나나껍질, 수박껍데기
- 물렁하고 수분함량이 높으면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된다. (귤 바나나 수박껍질)
- 파인애플 껍질은 일반쓰레기로 배출. 수박껍데기도 잘게 잘라서 일반쓰레기로 배출
일반쓰레기
양파껍질, 옥수수껍질, 티백 형태의 차, 대게 등 갑각류 껍질

음식물쓰레기 아닌 것
- 호두 밤 등 견과류 껍데기
- 복숭아, 감 등 단단한 핵과류의 씨
- 소 돼지 닭 등 큰 뼈다귀와 생선뼈
- 소라, 굴 등 어패류 껍데기
질문
음식물 쓰레기 냉동실에 보관했다가 버려도 되나요?
답변
노로바이러스균 같은 경우, 냉동실에서 일주일 이상 살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건강을 위해 냉동 보관하지 않는 것이 좋다. 음식물 쓰레기는 생기는 즉시 그때그때 버리는 것이 가장 좋고, 어렵다면 겨울철에는 베란다 등에 두었다가 버리는 것을 권장
** 음식물 쓰레기 버리기 전 보관하는 방법
- 음식물 쓰레기를 지퍼팩에 넣은 후 밀봉해 두면 초파리나 벌레가 생기지 않고 악취가 퍼지는 것도 막을 수 있다.
- 모아둔 음식물 쓰레기에 식초를 약간 뿌려주면 식초 속의 아세트산이 살균과 냄새 제거 효과가 있어 벌레가 꼬이지 않는다.

대파 보관법
재료 : 우유팩, 집게
방법
- 우유팩을 깨끗하게 씻어 말린다.
- 대파는 흰 부분과 초록부분을 나누어서 썬다.
- 대파를 우유팩에 세워서 넣은 후 집게로 집어 냉장보관한다.

양파 보관법
재료 : 과일 싸는 그물망
양파에 과일 포장 그물망을 하나씩 씌운다.
(양파끼리 닿지 않아서 썩지 않고 신선하게 오래 보관 가능)

생선 오래 두고 먹을 수 있는 보관법
준비물 : 뽁뽁이 (에어캡)
- 생선을 깨끗이 씻은 후 종이타월로 물기를 제거한다.
- 생선을 뽁뽁이로 감싸서 냉동실에 보관한다
- 생선에 성에가 끼지 않고 냄새 나지 않게 보관할 수 있다.

출연
폐기물 관리 전문가 오길종
정리전문가 황수연
출처 일단해봐요생방송오후1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