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환자는 꿀 먹으면 안된다? / 꿀물은 따뜻하게 먹어야 좋다? / 하얗게 굳은 꿀은 먹으면 안된다? / 좋은 꿀 고르는 법
꿀에 대한 궁금증
1. 당뇨 환자는 꿀 먹으면 안된다?
당뇨 환자가 당 섭취를 주의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무조건적으로 당 섭취를 제한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하는데요. 체내 당분이 부족하면, 뇌, 신경, 백혈구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고, 특히 꿀에는 철, 마그네슘, 티아민, 니아신 같은 미네랄이 풍부해, 우리 몸에 에너지원으로도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꿀을 섭취하는 것은 당뇨 환자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꿀은 혈당 지수가 높은 식품이기도 해, 지나치게 많은 양을 섭취하게 되면 혈당 수치 급상승으로, 당뇨 합병증의 발생을 촉진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적당량만을 섭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꿀 섭취가 혈당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
10g의 꿀과 설탕을 각각 넣은 꿀물과 설탕물을 섭취 후 혈당을 측정해 보았더니, 꿀을 섭취한 직후에는 혈당이 오르지만 2시간 후에는 다시 정상 수준으로 떨어졌지만, 설탕을 넣은 물은 2시간이 지나도 원래의 혈당으로 되돌아오지 않았다고 합니다.
설탕과 같은 첨가당은 체내에서 빠르게 흡수되기 때문에 혈당을 높이지만, 꿀은 과당과 포도당 이외에 다른 영양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설탕과 같은 양을 섭취한다고 하더라도 정상 혈당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 => 꿀은 혈당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음)
꿀은 당뇨 환자들의 체중과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에 도움이 되기도 하며, 체내 C-펩타이드 성분을 증가시켜 혈당 안정에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고 하네요.
※ 당뇨 환자의 꿀 섭취 권장량과 섭취 방법
=> 하루 1티스푼 이내로, 물에 타서 섭취하는 것이 좋고,
꿀에 레몬을 곁들여 먹으면, 레몬의 산성 성분이 혈당을 낮추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꿀과 레몬을 함께 먹으면 좋은 궁합이라 합니다.
2. 꿀물은 따뜻하게 먹어야 숙취해소에 좋다?
숙취해소에 도움이 되는 꿀 속 비타민B1, B6, C가 온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실험해본 결과, 뜨거운 물에서 숙취 해소에 도움이 되는 비타민 함량이 절반 이상 감소하였다고 하는데요.

에너지 생성과 알코올 배출을 도와 숙취 해소에 도움을 주는 꿀 속의 비타민B1, B6, C는 열에 약한 성분으로, 열을 가하거나 뜨거운 온도에 노출되면 파괴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숙취 해소를 위해 꿀물을 마실 때에는 뜨거운 온도가 아닌 찬물이나 미지근한 물에 섭취해야 숙취 해소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꿀 속의 비타민 성분은 항염, 노화방지, 면역 증진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요리에 꿀을 사용할 경우에도, 열을 식힌 후에 넣는 것이 비타민의 영양 손실을 최소화 하며 꿀의 영양을 온전히 섭취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3. 하얗게 굳은 꿀은 먹으면 안된다?
※ 솔은 꿀?
하얗게 색이 변하고 굳어서 결정화된 꿀을 솔은 꿀이라고 한다 하는데요.
꿀이 하얗게 소는 이유는 꿀이 가진 물리적인 성질로 인한 자연적인 현상으로,
=> 꿀에 들어있는 과당과 포도당 중, 과당의 비율보다 포도당의 비율이 높을 경우, 결정화가 일어나서 꿀이 하얗게 변하고 굳을 수 있고, 꿀의 보관 온도가 낮을 경우에도 솔은 꿀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상하거나 품질에 변화가 생긴 것이 아니라 안심하고 먹어도 됨)
굳은 꿀은 물에 잘 녹지 않고 까끌한 식감 때문에 섭취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때 뜨거운 물에 찬물을 섞어 미지근한 물을 만들고, (50도 미만의 온도) 2~3시간 정도 꿀을 유리병째 담가 두면 원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고 합니다.
상한 꿀 구별법
꿀은 특유의 살균 효과가 있어 잘 상하지 않지만, 사용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들어가 부패될 수 있는데
1. 꿀 통을 열었을 때 시큼한 냄새가 나거나
2. 육안으로 곰팡이가 보일 경우에는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
좋은 꿀 고르는 방법
모든 꿀의 뒷면에는 탄소비 (탄소동위원소비) 가 써 있는데,
=> 천연 꿀은 -23.5 의 수치이고,
=> 천연 꿀만이 이 정도의 수치를 낼 수 있다고 합니다.
※ 탄소비?
꿀의 순도를 나타내는 설탕의 혼합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탄소비의 수치가 낮을수록 좋은 꿀
설탕이 많은 양 섞여있는 시중에 파는 꿀은 탄소비가 -12 정도로 높게 나타난다고 하네요.
※ 꿀 섭취시 주의 사항
꿀은 일반인의 경우 하루 20g 이하, 두 스푼 정도로 섭취하는 것이 적당하고, 꿀 속의 보툴리누스 균이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12개월 미만의 유아는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미지 출처 mbn천기누설